민법 서설 I. 민법의 의의 0. 형식적 의의의 민법: 민법이라는 이름 가진 법률(법률471호) 1. 실질적 의의의 민법: 사법관계를 규율하는 일반법(=일반사법) ①형식적 민법(민법전)은 실질적 민법의 중심을 이루나 그 모두가 실질적 민법 아니다 (그 가운데 공법적 규..
1 1 법과 시민사회 중간고사 대비 출제 예문 목 차 1. 법 이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2. 법의 어원에 대해 서술하시오. 3. 각 사회 규범의 종류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4. 도덕과 법을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5. 법과 도덕의 관계에 대해 서술..
Ⅰ. 상법의 의의 1. 상법의 역사 1) 근대 이전의 상법 상인계급을 규율하기 위한 법으로 당시 상행위는 상인계급이 하는 활동들을 지칭했다. 2) 근대 이후의 상법 상행위(자유거래)를 규율하는 법으로 당시 상인은 계급을 떠나 상행위를 하는 모든 사람으로 지칭되었다. 2..
부작위범과 미필적 고의 Ⅰ. 서론 체육교사인 甲은 1980년 11월 13일 17시 30분경 중학생 A를 자기의 아파트로 유인하였다. 甲은 A의 양 손목과 발목을 노끈으로 묶고 입에는 반창고를 두 겹으로 붙인다음 양 손목을 묶은 노끈은 창틀에 박힌 시멘트 못에 양 발목을..
Ⅰ. 금전 채권 가.서 금전채권이라 함은 금전의 인도를 목적으로 하는 채권이며, 일반적으로 일정액의 금전의 인도를 목적으로 하는 금액채권을 의미 한다. 나.특색 금전채권은 일정한 가치의 인도를 목적으로 하는 가치 채권의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목적물의 특정이라는 것이..
<긴급피난의 법적성질> 형행법은 긴급피난의 법적 성질에 대해 충분히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학설이 대립하는데 책임조각설,위법성조각설,위법성조각사유인 긴급피난과 책임조각사유인 긴급피난의 양자로 나누어 진다는 이분론이 잇다. 1.책임조각설은 긴급피난행위는 무고한 타인의..
범죄주체로서의 법인 Ⅰ. 서론 1. 사실관계 사례 甲은 X주식회사의 대표이사이다. 甲은 전임대표이사 乙이 A, B, C에게 Y상가를 분양하여 대금 전액을 완납받았지만, 아직 상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가 하지 않은 상태라는 점을 이용하여, 甲은 Y상가를 D, E, F에게..
교사행위의 수단 ○ 교사행위는 정신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인 한 그 수단방법을 묻지 않는다. 이익제공이나 취직알선 등을 통한 매수?설득?애원?유혹?요청?약속?협박?기망?명령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 다만, 협박?기망?명령에 의한 경우에는 의사지배가 인정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