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문의전화
02-890-3333
09:00~11:50 13:00~18:00 (평일)
'경악전서 ' 총 검색 결과 185건
의부전록 124문 경악전서 두현頭眩 논치
頭眩 두현 眩運一證,虛者居其八九,兼火兼痰者,不過十中一二耳。 현운 한 증상은 허증에 8,9가 해당하니 화를 겸하고 담을 겸하니 10중에 1~2에 불과할 뿐이다. 原其所由,則有勞倦過度而運者,有飢飽失時而運者,有嘔吐傷上而運者,有瀉泄傷下而運者,有大汗亡陽而運者,有?)目驚心而運者,..
리포트 > 의/약학| 2008.02.03| 7페이지| 1,5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論今時皆合病倂病논금시개합병병병 二十五 26치법 상한전 경악전서
[論今時皆合病倂病 二十五] 논금시개합병병병 이십오. 상한전 25편 지금 시기에 모두 합병과 병병이 있음을 논의 余究心傷寒已久 初見合病倂病之說 殊有不明 而今始悉之. 여구심상한이구 초견합병병병지설 수유불명 이금시슬지. 내가 이미 오랫동안 상한론을 마음속으로 연구하여 처음 ..
리포트 > 의/약학| 2005.08.01| 11페이지| 1,800원 | 구매(0)| 조회(0)
경악전서 전충록 십문편에 대한 연구
경악전서 전충록 십문편에 대한 연구 ‘한열, 땀, 머리와 몸, 대 ... , 원망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 이 문장은 경악전서 에 수록된 십문편의 ... ? 장개빈 저, 안영민 역/ 경악전서 / 권2 장충록上 九십문편/ 1624
리포트 > 의/약학| 2019.09.19| 5페이지| 1,000원 | 구매(0)| 조회(0)
경악전서 부인규 약식藥食 남병 여병 영허음 변고 술고 자사류논열총방
藥食 藥食一 약식 약식1 種子之方, 本無定軌, 因人而藥, 各有所宜。 아들을 파종하는 처방은 본래 정해진 궤도가 없고 사람에 따라 약을 각자 의당하게 쓴다. 故凡寒者宜溫, 熱者宜凉, 滑者宜澁, 虛者宜補, 去其所偏, 則陰陽和而生化著矣。 그래서 차면 따뜻하게 하며 뜨거우면 ..
리포트 > 의/약학| 2020.06.18| 9페이지| 3,5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경악전서 부인규 총론 해석 부인구증-변혈색
卷之三十八 人集 婦人規 上 總論類 婦人九證 一 婦人諸病, 本與男子無異, 而其有異者, 則惟經水?胎産之屬, 故本門亦止列此九證, 부인의 여러 병은 본래 남자의 병과 더불어 다름이 없는데, 다른 것이 있는 것은 오직 經水(월경), 胎(임신), 출산에 속하는 것들이다. 그러므로..
리포트 > 의/약학| 2005.01.04| 24페이지| 1,0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反佐論 二十一 전충록 경악전서 원문 및 해석
[反佐論 二十一] 반좌론 이십일. 21 반좌론 用藥處方有反佐之道者 此軒岐之法旨. 용약처방유반좌지도자 차헌기지법지. 약을 사용하고 처방함에 반좌의 방도가 있으니 이는 헌원과 기백의 법이고 뜻이다. 治病之微權 有不可不明者. 치병지미권 유불가불명자. 반좌법은 병을 치료하는 ..
리포트 > 의/약학| 2005.07.08| 6페이지| 1,0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看目 十七 18설색변 상한전 경악전서
[看目 十七] 간목 십칠 상한전 17편 눈을 보아 관찰하다. 夫治傷寒須觀兩目 或赤或黃 赤者爲陽證 부치상한수관양목 혹적혹황 적자위양증. 상한을 치료하려면 모름지기 양 눈이 혹은 적색인지 혹은 황색인지를 보아야 하니 적색눈은 양의 증상이 된다. 若兼六脈洪大有力 或躁而渴者..
리포트 > 의/약학| 2005.07.28| 8페이지| 1,3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45 嘔吐 46 노력감한 47허증 상한전 경악전서 원문 및 해석
[嘔吐?證 四十五] 구토얼증 사십오. 상한전 45편 구토 딸꾹질증상. 嘔者 有聲無物; 구자 유성무물. 구란 구토 소리는 있고 내용물이 없음이다. 吐者 吐出食物也. 토자 토출식물야. 토란 토해서 음식물을 내보냄이다. 嘔者有寒有熱 吐則皆因胃寒也. 구자유한유열 토즉개인위한..
리포트 > 의/약학| 2005.08.10| 7페이지| 1,5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전충록 경악전서
[臟象別論 十八] 장상별론 18 18편 장부형상의 별다른 논의. 臟象之義 余所類於經文者不?詳矣 然經有所未及 而同中有不同 及有先同後異者 俱不可以不辨也. 장상지의 여소유어경문자불시상의. 연경유소미급이동중유부동 급유선동후이자 구불가이불변야. ?(뿐, ~뿐 아니라 시; 口-총..
리포트 > 의/약학| 2005.06.10| 4페이지| 8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宜忌歌 十二 난경맥의 맥신장 하 경악전서
[宜忌歌 十二] 의기가 십이. 맥신장 중 12편 금기에 해당하는 노래. 傷寒病熱兮 洪大易治而沈細難醫 상한병열혜 홍대이치이침세난의. 상한병에 열증은 홍대맥은 쉽게 치료되나 침세맥은 고치기 어렵다. 傷風?嗽兮 浮濡可攻而沈牢當避. 상한해수혜 부유가공이침뢰당피. 상한 해수에 ..
리포트 > 의/약학| 2005.07.18| 7페이지| 1,0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風寒辨 五 상한전 경악전서 원문 및 해석
[風寒辨 五] 풍한변 오 상한전 5편 풍사와 한사를 변별함. 凡病傷寒者는 本由寒氣所傷이니 而風卽寒之帥也라. 범병상한자는 본유한기소상이니 이풍즉한지수야라. 상한병은 한기의 손상에 연유하니 풍사는 곧 한사의 장수이다. 第以風寒으로 分氣令 則風主春而東하고 寒主冬而北하다; 제..
리포트 > 의/약학| 2005.07.21| 9페이지| 1,8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標本論 十五 전충록 경악전서
[標本論 十五] 15 표본론 病有標本者 本爲病之源 標爲病之變. 병유표본자 본위병지원 표위병지변. 병에 표본이 있는 것은 본은 병의 근원이고 표는 병의 변화이다. 病本惟一 隱而難明 病變甚多 顯而易見. 병본유일 은이난명 병변심다 현이이견. 병은 오직 하나를 근본으로 삼으니..
리포트 > 의/약학| 2005.06.10| 3페이지| 6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風濕 三十七 37 풍습 38결흉 상한전 경악전서 원문 및 해석
[風濕 三十七] 풍습 삼십칠. 상한전 하 37편 풍습증 仲景?論?曰: 太陽病 關節疼痛而煩 脈沈而細者 此名濕痺. 중경론왈 태양병 관절동통이번 맥침이세자 차명습비. 장중경 상한론에 말하길 태양병 관절이 아프면서 화끈거리고 맥이 가라앉고 세약하면 이를 습비라고 명명한다. ..
리포트 > 의/약학| 2005.08.05| 7페이지| 1,500원 | 구매(0)| 조회(0)
의부전록 전음문 의안 우의초寓意草 경악전서
《寓意草》曰:養?)王太翁先生,精神內守,百凡悉處謙退,年登古稀,面貌若童子,蓋得於天全而不受人損也。 우의초에서 말하길 양충왕 태옹선생이 정과 신을 안에서 지키니 모든 곳이 겸손하게 물러나며 나이가 고희에 이르니 안면이 동자와 같고 천부의 완전함을 얻어서 사람의 손상을 받지 않..
리포트 > 의/약학| 2009.01.05| 8페이지| 2,0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16 구본론 求本論 十六 전충록 경악전서
[求本論 十六] 구본론 십육 16 근본을 구하는 논의. 萬事皆有本 而治病之法 尤惟求本爲首務. 만사개유본 이치병지법 우유구본위수무. 만사는 다 근본이 있으니 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근본을 추구하는 것을 으뜸임무로 삼아야 한다. 所謂本者 惟一而無兩也. 소위본자 유일이무량야...
리포트 > 의/약학| 2005.06.10| 3페이지| 1,000원 | 구매(0)| 조회(0)
의부전록 사지문 경악전서 각기논증 논치 부위임세 금기 논고 학슬풍
景岳全書 경악전서 [ 明 張介賓] 명나라 장개빈 ?氣論證 각기
리포트 > 의/약학| 2008.10.18| 9페이지| 1,8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論汗 十四 땀에 대해 논의함, 상한전 경악전서 원문 및 해석
[論汗 十四] 논한 십사 상한전 14편 땀을 논의함 仲景?論?曰: 寸口脈이 浮而緊이며 浮則爲風이며 緊則爲寒이니 風則傷衛하고 寒則傷榮하야 榮衛俱病이라. 중경론왈 촌구맥이 부이긴이며 부즉위풍이며 긴즉위한이니 풍즉상위하고 한즉상영하야 영위구병이라. 장중경 상한론에서 말하길..
리포트 > 의/약학| 2005.07.25| 14페이지| 2,3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從舍辨 九 맥신장 경악전서
[從舍辨 九] 共三條 종사변 구 공삼조. 맥신장 중 9편 따르고 버림의 구분 모두 3조항이다. 凡治病之法 有當舍證從脈者 有當舍脈從證者 何也? 범치병지법 유당사증종맥자 유당사맥종증자 하야? 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증상을 버리고 맥을 따라야 함이 의당할 수 있고, 맥을 버리..
리포트 > 의/약학| 2005.07.18| 15페이지| 2,300원 | 구매(0)| 조회(0)
[한의학 원전 경악전서 ] 動氣 四十八 49전한 50두한 상한전 경악전서 원문 및 해석
[動氣 四十八] 동기 사십팔. 상한전 하 48편 동기. ?論?曰: 諸動氣者 不可發汗 亦不可下. 논왈 제동기자 불가발한 역불가하. 상한론에 말하길 모든 기를 동요한 환자는 발한해서도 안되고 또한 사하해서도 안된다. 按: 此動氣一證 卽築築然動於臍傍 及左乳之下曰虛里者 皆其聯..
리포트 > 의/약학| 2005.08.10| 8페이지| 1,500원 | 구매(0)| 조회(0)
의부전록 전음문 경악전서 음기종위 산론
前陰門 三 전음문 3 景岳全書 경악전서 [ 明 張介賓] 명나라 장
리포트 > 의/약학| 2008.11.20| 8페이지| 1,500원 | 구매(0)| 조회(0)